형성평가활용법 (1) 썸네일형 리스트형 교육심리학으로 설계한 2025 교실평가 혁신: 시험이 아닌 성장을 보는 시대 1. 평가, 이제는 ‘성장의 촉진자’로 다시 정의되어야 한다 전통적인 교육 평가의 목적은 학습 결과를 수치로 판단하고 성적을 부여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현대 교육심리학은 평가를 ‘학습을 촉진하는 도구’로 재정의한다. 특히 형성평가(Formative Assessment)는 수업 도중 학생의 이해 수준과 사고 흐름을 파악하여, 수업 방향을 즉각 조정할 수 있게 해준다. 예를 들어 수업 중 짧은 피드백, 개방형 질문, 또래 평가 활동은 학생의 사고를 명확하게 드러내며, 교사는 이를 바탕으로 개별화된 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평가가 학습의 끝이 아닌 과정 중심의 피드백 도구로 작동할 때, 학습자는 점수보다 성장에 주목하는 태도를 갖게 된다. [구체적 사례] 2025년 경기도교육청은 ‘학습 성찰 중심 수..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