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업혁신

(2)
칠판 지우고 태블릿 꺼내세요!– 교사라면 미리 써봤어야 할 스마트 수업 도구 7가지 '수업은 했는데, 수업 같지 않았다'는 시대의 도구가 있다 교사로 산다는 건 꽤 고단한 일이다. 하루 종일 말하다 보면 목이 쉬고, 아이들은 집중하지 않으며, 수업이 끝난 뒤엔 '도대체 오늘 뭘 가르친 거지?'라는 생각이 들 때도 있다. 2025년 현재, 교단에는 분필보다 충전기가, 종이보다 태블릿이 더 자주 등장한다. 하지만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수업이 꼭 '스마트'한 건 아니다. 결국 핵심은 도구가 아니라, 도구를 어떻게 '수업 안에서 살아 움직이게 하느냐'다. 이 글에서는 실제 현장에서 교사들이 사용해 보고 '효과 있었다'고 말한 스마트 수업 도구 7가지를 소개하고, 그 활용 후기와 교육 심리적 효과까지 짚어본다. 교사도, 학생도 덜 지치고 더 몰입할 수 있는 수업 환경은 생각보다 가까운 곳에 있다..
2025 고등학교 교실, 자율성 중심의 수업 혁신_교육심리학이 말하는 진짜 동기부여란? 자율성이 중심이 되는 수업, 왜 지금 필요한가? 2025년의 고등학교 교실은 이전과는 전혀 다른 풍경을 보여주고 있다. 단순히 지식을 외우고 시험을 치르는 교육 방식에서 벗어나, 이제는 학생이 수업의 주도권을 쥐고 참여하는 자율 중심의 수업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 변화의 중심에는 단순한 교육 정책이 아니라, 교육심리학이 오랜 시간 강조해 온 ‘자율성’이라는 심리적 요소가 자리 잡고 있다. 학습에 있어 자율성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필수이다. 학생은 타인의 지시에 따라 움직이는 존재가 아니라,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존재임을 전제할 때 비로소 깊이 있는 동기부여가 가능하다. 실제로 2025년부터 고등학교 수업에서 대폭 확대된 프로젝트형 학습, 선택형 과제 운영 등은 바로 이러한 심..